호락호락역사/박물관 이야기

[스크랩] 박물관교육 자료(2)

제대로one 2011. 4. 8. 21:36

엄마와 함께 해요!④ - 박물관 학습

2009.06.15 11:17 입력

아이 스스로 관찰하도록 배려, 한가지 주제만 보게 해야

엄마와 함께 해요!④ - 박물관 학습

아이 스스로 관찰하도록 배려, 한가지 주제만 보게 해야

 

최승재(11·서울 윤중초5사진 왼쪽)군은 박물관 매니어다. 4학년때는 사고로 다쳐 목발을 짚으면서도 6개월간 국립중앙박물관 학습프로그램을 빠지지 않고 수료했다. 최군은 “국어·사회 교과서에 박물관에서 공부한 것들이 나올 때마다 재미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진단평가에서도 사회 과목은 100점을 받았다. 어머니 위주연(37)씨는 “국립중앙박물관은 20번, 서울역사박물관은 10번 이상 방문했다”며 “역사를 스스로 공부하려 하고 숭례문 등 사회문제에도 관심을 가지는 등 학습효과가 높다”고 말했다.주제별 방문으로 기억에 오래 남게 해박물관은 학교교과를 예습·복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소다. 박물관을 좋아하는 엄마들의 모임인 ‘박물관 이야기’ 오현애 회장은 “학년마다 문화유산에 관련한 단원들이 전교과에 걸쳐있다”며 “아이의 학교진도에 맞춰 방문할 박물관을 함께 결정하라”고 조언했다. 3학년 사회교과서에 ‘우리마을 그리기’단원이 나오면 지도 박물관을 방문하고, 국어 교과서에 고려청자가 등장하면 국립중앙박물관을 방문하는 식이다. “청자 비취색이라는게 얼마나 아름다운지 보러 갈까?” 하고 아이와 공감대를 형성하면 방문의 목적이 생긴다. 박물관 체험이 익숙하지 않은 초등 저학년을 위해서는 한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계획을 짜는 것이 좋다. 예컨대 경제를 공부하기로 정했다면 한국은행 화폐금융박물관 등 경제에 관련된 박물관을 차례대로 방문하는 것. 경제를 주제로 한 박물관이라도 각 박물관마다 경제에 관한 다양한 개념을 담고 있어 아이들이 상호교차적으로 통합학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조선시대 경제생활상을 공부한 뒤, 한국금융사박물관에서 전통 금융거래·셈법과 조선시대 상평통보의 활용법을 관찰하다 보면 조선시대 경제의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농업박물관에서는 먹을거리 생산에 대한 경제적 활동과 소비를 배울 수 있다. 사전 준비하면 효과적- 40분 관람, 10분 휴식박물관을 방문하기 전에는 아이와 미리 간단히 사전준비를 하면 효과적이다. 가회박물관 주영희 학예사는 “박물관 사이트를 방문하면 대부분 현장에서 유물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도록 돕는 질문과 설명이 담긴 전시물 정보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이와 교과서·책 등을 참고해 직접 활동지를 만들 수도 있다.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적어 문답식 퀴즈를 만들거나 그림책에 나온 유물의 유래를 요약해 적으면 된다. 방문 뒤 집에 돌아와서 활동지 뒷면에 박물관 입장권·안내 브로셔 등을 붙여두면 교과연관 자료를 한데 모아두는 효과도 있다. 엄마가 조금만 노력하면 박물관은 아이가 좋아하는 여행지 1순위가 될 수 있다. 오 회장은 “전시실 관람은 초등생의 경우 40분을 넘지 말고, 한번 방문시 한가지 주제만 보라”며 “엄마가 뭔가를 설명하려 하기보다 아이가 스스로 관찰하도록 내버려두고, 좋은 기억을 쌓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박물관은 조명이 어둡고 유물관리 문제로 환기시스템도 완벽하게 가동하지 않아 어른도 오래 관람하면 쉽게 피로해진다. 활달한 아이들은 조용히 해야 하는 자체가 스트레스다.아이가 쉬기를 원하면 충분히 쉬어주고, 좋아하는 음료나 간식을 사주며 놀아주는 분위기를 조성하면 아이는 박물관경험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오 회장은 “공룡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자연사박물관에 가서 큰 뼈다귀 구조 하나 보고 오면 된다”며 “자주 여러번 방문하는 것이 한번 방문후 발을 끊는 것보다 아이들에게 훨씬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박물관 체험 이렇게 해보세요>>>

1단계: 박물관 학습주제를 정한다. 예, 경제

2단계: 주제에 관련된 박물관을 검색한 뒤 특징을 정리한다

-한국은행 화폐금융박물관 '돈의 역사와 가치

-신세계한국상업사박물관: 전통적 상업 활동과 장보고의 견당무역선 등 유물 관찰

-서울역사박물관: 조선 한양의 전통시장의 경제생활상

-농업박물관: 먹을거리 생산에 대한 경제적 활동과 소비

-한국금융사박물관: 전통적인 금융거래와 셈법, 조선시대 대표적 화폐 상평통보의 쓰임. 변천과정

-우리은행 은행사박물관: 금융기관인 은행의 기능과 돈의 이동경로

 

3단계: 한번 방문할 때마다 핵심적인 몇 가지만 관람한다

예>한국금융사박물관 1차방문목표-상평통보의 쓰임과 활용

 

4단계: 현장 활동지에 관찰 내용을 적고, 귀가한 후 자료를 정리한다.

 

 

 

 

메모 :